희토류는 왜 중요할까?

54_21_소쓸지1_썸네일

지난 2월 12일,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지분 50%를 요구하는 광물협정 초안을 제시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나라를 팔 수는 없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 OO뉴스, 25. 02. 21.


원소주기율표의 란타넘(La, 57번)부터 루테튬(Lu, 71번)까지의 란타넘족 15개 원소와 스칸듐(Sc, 21), 이트륨(Y, 39)을 더한 17개의 원소를 희토류(稀土類)라고 부릅니다.

한자를 풀어 쓰면 ‘희귀한 흙 종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비교적 많이 매장되어 있지만, 경제적인 채굴이 가능할 정도로 모여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었다고 합니다.

희토류는 각각 특별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반도체부터 자동차, 배터리, 원자력, 발전기, 미사일, 의료기기 등 오늘날 첨단 산업에서 안 쓰이는 곳이 없을 만큼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미래 산업의 쌀’, ‘첨단 산업의 비타민’이라 불리기도 할 정도로요. 하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채산성 있는 광산을 찾기도 어렵고, 채굴 및 정제 시 발생되는 방사선 폐기물(토륨, 우라늄 등)도 상당해 심각한 환경 오염 발생시켜 마구잡이로 채굴하기는 어렵습니다.

미래 산업의 쌀, 확보하지 못한다면..?

199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이 희토류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지만, 환경 규제 강화로 광산을 폐쇄하며 생산량이 급감했는데요. 그 사이 중국이 적극적인 투자 및 개발로 최대 생산국 자리를 이어받았고, 현재 정제 과정까지 합치면 희토류 시장의 90%를 중국이 차지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희토류는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로 구분되는데, 그중 중희토류는 사실상 중국에서만 채굴 및 정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이런 자원 자체가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중국은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희토류 수출을 중단 조치를 취했는데요. 미국 역시 현재 미·중 관계가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언제든지 같은 조치를 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희토류 확보 다각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채굴협정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매장 지역 대다수가 현재 러시아 점령지역인 것으로 나타나 실제 개발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또한, 러시아가 먼저 미국에게 점령지역의 개발권을 양도하겠다고 제안하기도 하고,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이 결렬됐다가 최근 휴전 협정이 논의되는 등, 여러모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보다는 리튬이나 티타튬 같은 핵심 광물에 더 관심을 두고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같은 호의 다른 콘텐츠

〈코칭맘〉을
종이책으로
받아 보세요!

상상코칭에서 제작하는 코칭맘은
3개월 마다 발행되며,
구독이나 배송에 따른
별다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무료 교육 매거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