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사춘기가 온 손녀

53_qna1

살가웠던 손녀가 사춘기가 왔나 봐요. 물어보면 대답도 안 하고 아쉬울 때만 다가오는데 딸 키웠던 경험에서 한 발 물러서서 지켜보고 있습니다. 조부모로서 어떻게 다가가면 좋을까요?

 신중하게 고민하고, 기다려 주는 조부모께서 계신다는 것이 아이에게 큰 행운인 것 같아요. 다만 ‘사춘기 아이에게 다가가는 법’을 알고 그대로 적용하신다면, 손녀 입장에서 일방적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엄청나게 변화하는 나이인 손녀에게 맞춰 주려 한다면,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워 눈치를 보시게 될 것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조부모의 역할’을 먼저 고민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조부모기에 들어선 것은 가족의 구심점이 다음 세대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부모가 되었을 때 부모 역할을 고민하는 것처럼, 조부모기도 역할을 고민하고 결정할 필요가 있는 삶의 전환기입니다.

 조부모의 바람직한 역할은 ‘성인자녀의 부모되기 돕기’로 제안됩니다. 손주의 성장을 돕는 것은 성인 자녀의 몫입니다. 성인 자녀와의 상호 작용이 긍정적이고 친밀한가가 더 중요하며, 조부모-성인 자녀 간 관계는 손주의 조부모, 부모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인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

 성인 자녀가 우리 가족의 구심점이고, 개별적인 성인 대 성인 관계임을 받아들였는지가 조부모기의 핵심 문제로 알려져 있는데요. 혹시라도 자녀의 정신적, 물리적 독립이 이뤄지지 않았고, 자녀의 삶의 방식에 개입하고 계신다면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 권위를 세우며 자녀의 ‘부모 되기’를 도와주세요.

성인 자녀는 개별적인 성인 대 성인의 관계다.

 이런 기반 아래, 우리 가족에서 나의 조부모 역할의 ‘테마’를 고민해 보세요. 양육과 돌봄을 제공하는 예비 부모,
가족 갈등을 중재하는 가족 중재자, 젊은 세대에게 가족의 정체성과 전통을 전수하는 가족 역사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조부모가 스스로 정한 역할과 방식이 가족 구성원의 기대와 다를 때 문제가 생깁니다. 성인 자녀와의 관계를 강화하여 자녀로부터 지지를 더 받으시고, 성인 자녀와 손주가 바라는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서로 대화하며 기대를 조율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덧붙여, 대답을 안 한다는 것은 대답 이후 상황이 부담스럽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대화 방식을 점검해 보시는 걸 권해 드립니다. 질문한 후 대답을 인정해 줄 때 아이들은 관심이라고 느낍니다. 아이가 요청하지 않은 조언은 관심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 아닌데, 아이는 나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나를 할머니와 동일하게 만드는 것’에 대한 관심, 즉 통제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아이에게 뭘 겪었는지, 어떤 기분인지, 뭘 원하는지를 물어봐 주시고, ‘그렇구나.’ 하고 알아주세요. 바람직한 행동을 가르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성인 자녀의 역할입니다.

허진영 전문코치(KPC)

같은 호의 다른 콘텐츠

〈코칭맘〉을
종이책으로
받아 보세요!

상상코칭에서 제작하는 코칭맘은
3개월 마다 발행되며,
구독이나 배송에 따른
별다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무료 교육 매거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