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학습 동기부여가 안 되는 초6, 어떻게 해야 할까요?

49_qna2

우리 아이 이대로 괜찮을까요?

학습 동기부여가 안 되는 초6 남아에게 공부는 왜 해야 하며, 공부 습관이 왜 중요한지, 앞으로 다양한 진로탐색을 위한 가이드는 어떻게 해 주면 좋을까요?

신용희 전문코치(KAC)

 “당신이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목재를 가져오게 하고 일을 지시하는 대신, 그들에게 저 넓고 끝없는 바다에 대한 동경심을 키워줘라”

 프랑스 소설가 생텍쥐페리의 글입니다. 인간에게 새로운 세상에 대한 동경심을 가지게 한다는 것은 새로운 꿈을 꿀 수 있게 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부모의 시야가 넓어야 아이도 다양한 길을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찾아보려는 시도와 탐색을 끊임없이 할 수 있게 부모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걸 할 수 있는 사람인지는 그 상황을 맞이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기 자신을 알아갈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선물해 주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 따르면 성장기에 꼭 경험해야 할 두 가지 과제로 탐색과 소속감을 말합니다. 탐색은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것을 찾아보려는 시도이고, 소속감이란 현재 내가 속한 집단에서의 책임감과 의무를 다하는 소속감(commitment)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 과제를 균형 있게 발달시키면서 아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 갑니다. 탐색을 통해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시작하고, 자신에게 흥미와 몰입감을 줄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진로 탐색을 할 수 있습니다.

 소속감은 책임감을 배우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책임감은 단순히 과제를 다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신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다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의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배운다는 의미에서, 한 사람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삶을 잘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임감을 가진 아이는 자신을 의지하고 주도권을 갖기 때문에 더 독립적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행동과 선택에 책임을 질 때 더 자신감을 가지기에 앞으로 무슨 일을 하든지 잘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 책임감 있는 사람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스스로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책임감은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장려합니다.

 어떤 일에 흥미가 생겨 스스로 몰입할 때 자발적인 배움이 일어납니다. 배우는 성장은 자신이 원할 때만 진정한 성장을 가능케 합니다. 나에게 결핍이 생겼을 때 그것을 채우기 위한 방법을 스스로 고민하면서 삶의 능동성이 생기게 됩니다.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아이는 스스로 학습하는 법을 터득하고 배움에 훨씬 높은 효율성을 가집니다. 내 아이에게 맞는 진정한 배움의 즐거움을 가르쳐 주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같은 호의 다른 콘텐츠

〈코칭맘〉을
종이책으로
받아 보세요!

상상코칭에서 제작하는 코칭맘은
3개월 마다 발행되며,
구독이나 배송에 따른
별다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무료 교육 매거진입니다.